채권투자 - 채권의 이해 (국채와 회사채)
채권투자 - 채권의 이해 (국채와 회사채) 채권은 영어로 Bond, 돈을 빌려주고 받는 차용증서이자 유가증권이다. 채권은 은행, 정부, 주식회사, 공공단체 등만이 발행할 수 있는데, 발행기관은 채권을 팔아 자금 조달하고, 채권을 사는 사람은 이를 투자목적으로 구매한다. 기본부터 설명하면, 채권를 이해하는데 알아야 할 것들은 만기, 액면가와 표면금리가 있다. 채권의 액면가는 1,000원, 10,000원, 50,000원짜리 지폐처럼, 채권에 적힌 가격을 뜻한다. 그리고 표면금리는 해당 채권을 보유하면 발생하는 이자율을 뜻한다. 예를들어 액면가가 100만원인 채권을 10장 구매했을 시, 이자 지급이 반기마다 이루어 지고 표면금리가 2%라고 하면, 6개월마다 20만원의 이자가 발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만기는..
2020. 6. 5.
사모펀드란? 공모펀드와 다르다! (PEF)
사모펀드란? 공모펀드와 다르다! (PEF) 사모펀드는 영어로 Private Equity Fund, 줄여서 PEF라고 부르며, 한글로 비공개 기업투자 펀드 또는 고수익 기업투자 펀드를 뜻한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에 대비되는 용어로,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비공개적으로 돈을 모아 투자신탁을 하는 펀드이다. 사모펀드를 공모펀드와 비교해보면서 다시 자세히 살펴보겠다. 먼저, 공모펀드같은 경우, 50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투자금액의 크기와 상관없이 투자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모펀드의 경우, 앞서 간략하게 설명했듯이, 소수 및 비공개로 진행되는데, 50명 미만의 투자자 수 제한이 걸려있고, 전문투자자라면 1억 이상, 전문투자자가 아니라면 3억 이상을 투자하도록 권고한다. 또한, 공모펀드는 ..
2020. 6. 3.
모멘텀 뜻, Momentum 지표의 활용법!
모멘텀 뜻, Momentum 지표의 활용법! 모멘텀은 영어로 Momentum, 본래 물리학의 용어로 물질의 운동량을 뜻한다. 그러나 주식에서의 모멘텀은 주가 등락의 기울기, 즉 등락의 가속도를 의미한다. 좀 더 엄밀히 말하면, 모멘텀은 단기간 동안 주가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Momentum은 금일 종가를 n일전 종가로 나눠서 구해지는데, 기본적으로 n일은 12일을 기준으로 한다. Momentum : 금일 종가 / n일전 종가 * 100 즉, n일 대비 현재 주가의 위치를 나타냄으로써, 주가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들면, n이 12이고, Momentum이 100%면, 이는 금일 종가가 12일전 종가랑 같으며,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Momentum이 100% 이상이면, 이는 12일전..
2020. 6. 2.
밸류에이션과 펀더멘탈 뜻, 대장주를 선별해보자!
밸류에이션과 펀더멘탈 뜻, 대장주를 선별해보자! 1. 펀더멘탈 펀더멘탈은 영어로 Fundamental, 한글로 경제기초를 뜻한다. 펀더멘탈은 국가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 경상수지 등을 의미하는데, 주식에서의 펀더멘탈은 기업기초로 해석할 수 있으며, 매출과 재무건전성 등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세상 만사 기초가 중요하듯, 주식의 펀더멘탈 또한 주가 상승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펀더멘탈이 좋은 기업은 호재가 있으면, 튼튼한 기초를 기반으로 주가 상승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 설령, 악재가 발생하더라도, 기초가 튼튼하기 때문에, 하락세를 어느 정도 완화하기도 한다. 반면, 펀더멘탈이 좋지 않은 기업의 경우, 호재가 있더라도 세력들의 타겟이 되어 불안정한 주가 흐름을 나타내며, 혹여나..
2020. 6. 1.
분식회계란?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다!
분식회계란?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다! 분식회계는 회사가 장부를 조작하여 실적을 부풀리는 것을 뜻한다. 회사가 분식회계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가장 먼저 대출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돈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받게 된다. 상환 능력은 대체로 매출, 자산와 채무 등으로 결정이 되는데, 매출이 낮고, 갖고 있는 자산도 없이, 부채규모만 크다면, 채권자는 해당 회사가 상환능력이 낮다고 결론을 지어, 돈을 빌려 주지 않거나, 높은 이자율을 요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물론 회사 입장에서는 곤란하게 되므로, 고의적으로 매출을 조금 올려 기록하고, 자산 가치도 높게 평가하고, 부채규모도 조금 적게 보이게 끔 인위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 손실 은폐를 생각해 볼 수 있다..
2020.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