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연계채권 - 전환사채란? (CB, 전환사채 발행과 주가관계)
전환사채는 영어로 Convertible Bond, 줄여서 CB라고 하며,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을 뜻한다.
기업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는 방법.
두번쨰로 유상증자와 같이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전환사채는 바로 세번째인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받는 수단에 속한다.
전환사채는 기본적으로 채권이므로 만기일이 있고, 정기적으로 이자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환청구로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채권이랑은 다르다.
물론, 일반 채권처럼 만기일까지 이자와 원금을 챙길 수도 있다.
하지만, 전환가액이 현 시점의 주가보다 훨씬 낮다면, 시세차익을 통해 더 큰 이익을 챙길 수 있으니, 전환을 하는게 더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가액이란, 얼마의 비율로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전환사채 발행 전 미리 정해진다.
만약 현 시점의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낮다면, 굳이 전환을 청구할 필요가 없다.
전환사채에서의 전환은 권리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전환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전환사채는 이러한 권리를 갖고 있기에, 일반 채권보다는 낮은 이자율을 갖는다.
따라서 전환사채는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는 동시에,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부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에서 선호하는 자금 조달 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기존 주주 입장에서의 전환사채는 반갑지 않은 소식일 수도 있다.
시가총액은 일정한데, 주식 추가 발행으로 주가가 유상증자처럼 희석된다는 것이 첫번째 이유이며, 두번째로는 채권 전환으로 시세차익 물량이 나오면 주가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환사채의 발행은 일반적으로 기존 주주 보호를 위해 먼저 인수권을 주거나, 주주총회에 따라 결정하기도 하는데, 어쨌든 해당 자금 조달로 기업이 성장을 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전환사채의 발행은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지만,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한다.
'금융이야기 > 펀드 및 채권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투자 - FX 마진거래 알아보기 (Forex) (0) | 2020.06.06 |
---|---|
채권투자 - 채권의 이해 (국채와 회사채) (0) | 2020.06.05 |
사모펀드란? 공모펀드와 다르다! (PEF) (0) | 2020.06.03 |
펀드란 무엇인가? 나도 한번 해볼까? (0) | 2020.05.24 |
ETF, ETN 그리고 ELW란? (코덱스레버리지와 코덱스인버스란?) (0) | 2020.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