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2

시간외 종가 매매시간과 시간외단일가 거래시간을 알아봅시다! 시간외 종가 매매시간과 시간외단일가 거래시간을 알아봅시다! 1. 시간외 종가 매매시간 한국증시의 거래시간은, 8시 30분부터 9시까지는 장 시작 전 동시호가,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는 정규시간, 그리고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장 종료 전 동시호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규시간에 포함) 개미투자자들은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만 진행하는 정규시간만 알고 있을 뿐, 그 외에도 거래가능한 시간이 있다는 걸 모르는 경우가 많다. 시간외 종가 매매시간은 동시호가와 비슷하게, 장전 시간외 종가 그리고 장후 시간외 종가가 있다. 이는 정규시간에 거래를 하지 못한 투자자에게 거래의 기회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장종료 후 또는 장시작 전 일정시간 동안 종가기준으로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한 제도.. 2020. 7. 10.
주식 거래시간, 정규시간 살펴보기 (동시호가란?) 주식 거래시간, 정규시간 살펴보기 (동시호가란?) 주식은 비트코인, FX 마진거래과 다르게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있다. 날짜기준으로 먼저 보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거래를 할 수 있으며, 토요일과 일요일을 포함한 빨간날에는 개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시간기준에서 보면, 정규시간은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이다. 이는 기존 9시부터 오후 3시까지인 거래시간을, 16년 8월 1일부로 30분 연장을 한 것이다. 연장을 한 이유는 해외주식시장보다 짧은 거래시간을 늘려, 새로운 정보를 주가에 빠르게 반영시켜 효율적인 시장을 만들기 위한 것과, 거래량 증가에 따른 유동성 강화 및 해외투자자들의 시장 참여를 늘리기 위한 점 등이 있다. 주식거래에서는 정규시간 외에도 알아야할 시간개념들이 있다. 장 시작 .. 2020. 7. 9.
주식거래 수수료 계산법 알아보기 주식거래 수수료 계산법 알아보기 돈을 벌기 위한 주식거래에 있어서 지출변수가 되는 수수료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나 장기투자가 아닌 단기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은 하루에도 여러번 매매를 하는데, 매도 시에만 부과되는 세금과는 다르게, 수수료는 매수 및 매도를 할때마다 지출되기 때문에, 거래횟수에 따라 그만큼 지출이 커진다. 주식거래 수수료는 증권사마다 다르고, 거래 종목의 시장에 따라 다르고, 매매방식에 따라 또 다르다. 거래 종목의 시장을 기준으로 보면, 코스피와 코스피는의 거래 수수료가 같지만 K-OTC와는 다르다. 또, 매매방식에 따른 예를 들면, HTS를 통해 코스피 상장종목을 거래하면 수수료가 0.015%, ARS를 통해 같은 종목 거래시 수수료가 0.15%가 되는 식이다. 주식거래의 수수료 계산기.. 2020. 7. 8.
DMI 지표와 ADX 지표를 활용해 주식매매를 해보자! DMI 지표와 ADX 지표를 활용해 주식매매를 해보자! DMI는 Directional Movement Index의 약자로,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리고 ADX는 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icator의 약자로, DMI 지표를 활용한 매매에서 같이 사용되어 추세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DMI는 기본적으로 상승추세일 때, 전일고가보다 당인고가가 높다고 보고, 하락추세일 땐 전일저가보다 당일저가가 낮다고 본다. 여기서, 전일가격과 당일가격의 차이를 고가, 저가 그리고 종가에 따라서, Plus DM(Directional Movement), Minus DM 그리고 CL로 나타나는데, 수식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Plu.. 2020. 7. 7.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한번 알아보자!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한번 알아보자! 프로그램 매매는 단어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이 직접 매매주문을 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이 대신 매매주문을 하는 것을 뜻한다. 프로그램 매매는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가 하는 것이 아닌, 기관 또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막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하는 바스캣 거래이다. 여기서 바스캣 거래란, 한 계좌에서 15개 이상의 종목을 동시에 거래하는 것을 뜻하고, 프로그램 매매는 바스캣 거래를 위한 자동매매 장치로 보면 되는 것이다. 매매방식은 종목, 호가 등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프로그램이 해당 조건을 충족할 시점에 자동적으로 매매를 진행한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와 바치익거래로 구분된다. 차익거래는 현물과 선물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거래인데, 선물가격은 일반적으.. 2020. 7. 6.
가장 기본적인 주식 호가창 보는법 가르쳐드립니다! 가장 기본적인 주식 호가창 보는법 가르쳐드립니다! 주식거래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바로 호가창이라 할 수 있다. 호가창을 볼 줄 알아야 비로소 주식매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호가창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 호가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다. 호가는 매수 또는 매도를 하기 위해 증권사에 주문하는 주식의 가격을 뜻한다. 이어어 바로 호가창을 설명하면, 호가창이란 투자자들에게 접수받은 주문의 가격별 수량을 표시한 창이다. 실제 주식거래에서의 호가창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그림 중앙에 표시된 숫자들이 (52,600 ~ 54,500원) 바로 호가인데, 매수호가 10단계, 그리고 매도호가 10단계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상하 호가의 차이가 100원씩인 .. 2020. 7. 5.
스톡옵션이란? 임직원을 위한 보상제도이다! 스톡옵션이란? 임직원을 위한 보상제도이다! 스톡옵션이란 무엇일까? 스톡옵션은 영어로 Stock Option로 표현하며, 우리나라 말로는 주식매수선택권이라 부른다. 이는 기업이 임직원에게 주식을 싸게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을 뜻한다. 스톡옵션은 벤처기업과 같이 운영자금 부족의 한계가 있는 기업들이, 고급인력을 데려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는 회사자본금의 과도한 임금비율에 따른 현금 유출을 막고, 임직원의 근로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석이조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다시 설명하면, 스톡옵션은 임직원에게 낮은 임금을 지급하는 대신, 기업성장에 따른 성과보상으로 주식매수권리를 지급하는 일종의 성과보상제도인 것이다. 스톡옵션은 기본적으로 옵션의 일종으로, 사전에 결정한 행사가격으로 매수를 할.. 2020. 7. 4.
주식 체결강도란? 매매세력을 구분해보자! 주식 체결강도란? 매매세력을 구분해보자! 주식거래를 해본 투자자들이라면, 체결강도라는 단어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럼 체결강도란 무엇인가? 대략적으로 무슨 뜻인지는 감이 오겠지만, 정확히 설명하려면 말이 안나올 것이다. 다시 체결강도란, 종목거래의 현재 시점에서 매수세 강세인지 또는 매도세 강세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체결강도 = 매수체결량 / 매도체결량 * 100% 즉, 체결강도가 100%보다 높으면, 이는 매수체결량이 매도체결량보다 많다는 것으로, 매수세 강세로 해석이 된다. 반대로, 체결강도가 100%보다 낮으면, 매수체결량보다는 매도체결량이 많다는 것으로, 매도세 강세로 해석이 된다. 체결강도가 100%인 경우도 존재한다. 이는 매수세 강세 또는 매도세 강세도 .. 2020. 7. 3.
자전거래란? 자전거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 블록딜과의 차이점 자전거래란? 자전거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 블록딜과의 차이점 자전거래는 영어로 Cross Trading 이라 부른다. 자전거래에 대한 정의는, 증권사가 동일 수량의 매도 및 매수 주문을 내어 거래를 체결시키는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방식에는 총 세 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장 시작 전 시가 또는 장 종료 후 종가로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로, 장 종료 후 종가 기준으로 상하 5호가 범위 내에서 매매를 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중에 호가에 따라 단순 대량매매를 하는 방법이 있다. 첫번째와 두번째 방법은 증권거래소에 신고를 하고 진행하게 되어 있는데, 이때 거래하는 종목, 수량, 가격 등은 사전 협의 하에 결정된다. 추가로 자전거래를 진행하면서 신고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 2020. 7. 2.
캐시카우 뜻과 의미, BCG 매트릭스를 이해하자! 캐시카우 뜻과 의미, BCG 매트릭스를 이해하자! 캐시카우의 뜻과 의미를 알기 위해서 BCG 매트릭스를 알아야 한다. 캐시카우 자체는 성장 가능성은 낮지만, 꾸준히 수익을 창출해내는 기업을 뜻한다. 영어는 Cash Cow로 표현하며, 이 용어는 세계 3대 컨설팅 회사, Mckinsey&Company, The Boston Consulting Group, Inc., Bain & Company 중 하나인, The Boston Consulting Group 줄여서 BCG에서 도입한 용어이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가만히 보면, 성장 가능성이 낮다는 부분을 부정적으로 해석하여, 캐시카우 자체를 부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BCG 매트릭스에 대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겠다. BCG.. 2020. 7. 1.
적삼병 출현과 흑삼병 출현의 의미를 알아보자! 적삼병 출현과 흑삼병 출현의 의미를 알아보자! 적삼병과 흑삼병은 대조적인 용어이다. 간단하게 먼저 설명을 하면 적삼병은 3일 연속으로 양봉, 흑삼병은 3일 연속 음봉이 나온 상태를 뜻한다. 적삼병과 흑삼병은 앞서 양봉 및 음봉이라고 표현했듯이, 봉차트에서 활용되는 용어이다. 추가적으로, 봉차트에서도 월 또는 주 단위보다는, 일 단위 차트에서 주로 활용되는데, 조심해야 될 것은, 적삼병 또는 흑삼병이 출현했다고 해서, 무조건 매수 및 매도하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적삼병부터 살펴보자면, 하락추세에서 바닥을 먼저 찍고 3일 연속 주가가 상승했다면, 이는 확실히 매수 강세로 해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반면, 하락추세도 아니고 바닥을 찍은 것은 더욱 아닐 때 .. 2020.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