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기본적인 주식 호가창 보는법 가르쳐드립니다!
주식거래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바로 호가창이라 할 수 있다.
호가창을 볼 줄 알아야 비로소 주식매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호가창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 호가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다.
호가는 매수 또는 매도를 하기 위해 증권사에 주문하는 주식의 가격을 뜻한다.
이어어 바로 호가창을 설명하면, 호가창이란 투자자들에게 접수받은 주문의 가격별 수량을 표시한 창이다.
실제 주식거래에서의 호가창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그림 중앙에 표시된 숫자들이 (52,600 ~ 54,500원) 바로 호가인데, 매수호가 10단계, 그리고 매도호가 10단계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상하 호가의 차이가 100원씩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주식가격에 따라 다르다.
주식가격 | 코스피 호가단위 | 코스닥 호가단위 |
1,000원 미만 | 1원 | 1원 |
1,000 ~ 5,000원 미만 | 5원 | 5원 |
5,000 ~ 10,000원 미만 | 10원 | 10원 |
10,000 ~ 50,000원 미만 | 50원 | 50원 |
50,000 ~ 100,000원 미만 | 100원 | 100원 |
100,000 ~ 500,000원 미만 | 500원 | |
500,000원 이상 | 1,000원 |
빨간색 테두리로 구분되어 있는 중간 호가 53,600원은 시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왼쪽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들은 해당 가격의 매도 주문량을 뜻한다.
즉, 시가기준으로 보면, 53,600원에 530,236주의 매도주문이 접수된 것이다.
매수 및 매도 총 주문량은 호가창 아래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그림기준으로 보면, 매도는 총 2,753,015주, 매수는 총 1,001,306주가 접수되어 있는 것이다.
매도 총 주문량 윗부분은 HTS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실시간 매매체결 상태를 나타낸다.
파랑색 체결량은 매도체결을 의미하고, 빨간색 체결량은 매수체결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들의 매도체결량과 매수체결량에 따라 체결강도가 정해진다.
주식매매에 있어서 호가창에 표시된 주문량과 체결량은 개미투자자에게 상당한 압박감을 준다.
세력들은 그러한 개미투자자의 심리를 이용하여 매매에 활용하는데, 이러한 세력들의 개입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체결강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호가창에는 여러 정보들이 표시되있지만,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고,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만 알아도 충분히 매매를 할 수 있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금융이야기 > 주식 매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거래 수수료 계산법 알아보기 (0) | 2020.07.08 |
---|---|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한번 알아보자! (0) | 2020.07.06 |
스톡옵션이란? 임직원을 위한 보상제도이다! (0) | 2020.07.04 |
자전거래란? 자전거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 블록딜과의 차이점 (0) | 2020.07.02 |
블록딜이란? 블록딜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0) | 2020.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