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카우 뜻과 의미, BCG 매트릭스를 이해하자!
캐시카우 뜻과 의미, BCG 매트릭스를 이해하자! 캐시카우의 뜻과 의미를 알기 위해서 BCG 매트릭스를 알아야 한다. 캐시카우 자체는 성장 가능성은 낮지만, 꾸준히 수익을 창출해내는 기업을 뜻한다. 영어는 Cash Cow로 표현하며, 이 용어는 세계 3대 컨설팅 회사, Mckinsey&Company, The Boston Consulting Group, Inc., Bain & Company 중 하나인, The Boston Consulting Group 줄여서 BCG에서 도입한 용어이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가만히 보면, 성장 가능성이 낮다는 부분을 부정적으로 해석하여, 캐시카우 자체를 부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BCG 매트릭스에 대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겠다. BCG..
2020. 7. 1.
적삼병 출현과 흑삼병 출현의 의미를 알아보자!
적삼병 출현과 흑삼병 출현의 의미를 알아보자! 적삼병과 흑삼병은 대조적인 용어이다. 간단하게 먼저 설명을 하면 적삼병은 3일 연속으로 양봉, 흑삼병은 3일 연속 음봉이 나온 상태를 뜻한다. 적삼병과 흑삼병은 앞서 양봉 및 음봉이라고 표현했듯이, 봉차트에서 활용되는 용어이다. 추가적으로, 봉차트에서도 월 또는 주 단위보다는, 일 단위 차트에서 주로 활용되는데, 조심해야 될 것은, 적삼병 또는 흑삼병이 출현했다고 해서, 무조건 매수 및 매도하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적삼병부터 살펴보자면, 하락추세에서 바닥을 먼저 찍고 3일 연속 주가가 상승했다면, 이는 확실히 매수 강세로 해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반면, 하락추세도 아니고 바닥을 찍은 것은 더욱 아닐 때 ..
2020. 6. 30.
주식 양도소득세! 뭐가 달라질까? (2023년 주식 양도소득세율)
주식 양도소득세! 뭐가 달라질까? (2023년 주식 양도소득세율) 2020년 6월 25일 기획재정부에서는 2023년부로 주식에 양도소득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를 하였다. 기존 주식거래에 있어서 어떻게 과세를 했으며, 앞으로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를 지금 바로 살펴보겠다. 투자자들이 기존 주식거래에서 과세한 세금은 대부분 증권거래세일 것이다. 이는 매도 시, 거래대금에 대해서 세금을 걷는 것인데, 2020년 현재 증권거래세는 0.25% 이다. 따라서, 만약 투자자가 1,000만원에 주식을 사서, 3,000만원에 매도를 하였다면, 3,000만원 * 0.25% = 7만 5천원의 증권거래세를 낸 것이다. 정부에서는 증권거래세에 대해서 단계적으로 인하하겠다고 발표를 하였는데, 2022년에는 0.23% 그리고 2023..
2020. 6. 29.
블록딜이란? 블록딜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블록딜이란? 블록딜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블록딜은 영어로 Block Deal인데, 이는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가 장중에 매도하여, 주가가 폭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매도 물량을 매수할 투자자를 구해, 장외거래를 하는 매매를 뜻한다. 블록딜은 투자자가 증권사를 선정하면, 증권사에서는 매수자를 찾는데, 일반적으로 기관 또는 기업에게 매각된다. 이때 매매는 시장가보다 더 낮은 5~8% 할인된 가격으로 매매가 이루어지는데, 더 낮은 가격에 매각할바에야 장중에 매도하는게 낫지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대주주가 많은 물량을 내놓으면, 주가는 오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매수물량보다 매도물량이 순간적으로 많아져, 장중 투자심리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주..
2020. 6. 28.
액면분할이란 무엇인가? 삼성전자도 액면분할을?
액면분할이란 무엇인가? 삼성전자도 액면분할을? 액면분할이란 주식의 액면가액을 나누는 행위를 뜻한다. 예를 들면, 액면가액이 5,000원짜리 주식이 있다고 하고, 액면분할을 통해 액면가를 500원으로 나눈다고하면, 이는 5,000원짜리 주식이 500원짜리 주식 10주가 되는 것이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10,000원 지폐를 1,000원짜리 지폐 10장으로 바꾸는 행위가, 바로 액면분할이다라는 것이다. 액면분할은 어떻게 하더라도, 총가치에는 변화가 없다는게 바로 특징이다. 따라서, 어떤 종목이 액면분할을 한다고 하면, 해당 종목의 시가총액에는 변화가 없다. 다만, 액면가가 위에서 예로 든것처럼 1/10로 분할된다면, 주가 또한 1/10으로 하향 조정될 것이고, 대신에 주식수는 10배로 뛰게 될 것이다..
2020. 6. 26.
종목분류 : 블루칩, 옐로우칩, 블랙칩, 레드칩, 그린칩 뜻을 알아보자!
종목분류 : 블루칩, 옐로우칩, 블랙칩, 레드칩, 그린칩 뜻을 알아보자! 주식에서는 종목의 특성에 따라 색깔을 붙여부르는데, 각각 블루칩, 옐로우칩, 블랙칩, 레드칩 그리고 그린칩이 있다. 이들을 하나씩 살펴보겠다. 첫번째로 블루칩이다. 블루칩은 간단히 정의하면 우량주라고 할 수 있다. 왜 우량주를 블루칩으로 부르냐에 대해서 알아보면, 카지노에서 돈 대신사용하는 칩들을 파란, 빨간, 흰색이 있는데, 그 중에서 파란색이 가장 높은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사실 우량주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시가총액이 크고,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있고, 안정적으로 현금흐름을 오랜 시간동안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성장성 및 큰 자본금 등을 따지기도 하는데, 이 역시 앞서 말한 것처럼 정해진 바가 없어..
2020. 6. 25.
주식에서 갭의 의미를 알면 주가흐름이 보인다!
주식에서 갭의 의미를 알면 주가흐름이 보인다! 주식에서 갭(Gap)이란, 전일 종가와 금일 시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때 그 간격을 의미한다. 갭은 일방적인 매수 또는 매도로 인해서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호재 또는 악재가 있을 때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갭은 상승갭과 하락갭으로 분류된다. 상승갭은 전일 종가보다 금일 시가가 더 높은 가격에서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하락갭은 전일 종가보다 금일 시가가 더 낮은 가격에서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갭의 특성에 따라 보통갭, 돌파갭, 진행갭, 소멸갭으로 나뉘는데, 우선 보통갭은 영어로 Common Gap으로, 보합세에서 일어나는 갭을 뜻한다. 보통갭은 사실 별다른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데, 보합세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거래량도..
2020. 6. 23.
보합세란? 주식 보합세에서의 매매전략은 어떤 것이 있을까?
보합세란? 주식 보합세에서의 매매전략은 어떤 것이 있을까? 보합세는 가격의 변동폭이 크지 않아, 일정 가격을 유지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주식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물가, 부동산 등 시세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에서 모두 사용된다. 보합세는 매수/매도세에 따라 약보합세와 강보합세로도 구분되는데, 약보합세는 보합세에서 매도세가 조금 더 강해, 변동폭이 크지 않지만, 조금씩 하락하는 추세를 뜻한다. 그리고, 반대로 강보합세는 역시 변동폭이 크지 않지만,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를 뜻하며, 매수세가 조금 더 강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보합세는 변동폭이 작을 뿐,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일정 가격을 계속 유지하는 완벽한 보합세는 없다. 즉, 이말은 보합세에서는 약보합세와 강보합세..
2020. 6. 22.